택배부터 캠핑까지! 기아 PV5 패신저/카고 시승기 – 이거 사면 됩니다 / 보조금은 얼마?

728x90
반응형

 

생각보다 꽤 괜찮은 PV5, 캠핑/소상공인에게 딱

-편안한 승차감과 여유로운 출력

-여유로운 실내공간

-컨버전이 기대되는 PV5

 

기아자동차의 전동화 모빌리티 ‘PV5’ 를 시승해봤다. 5인승 패신저 모델과 카고 모델을 각각 일산 킨텍스에서부터 영종도까지 왕복을 하면서 고속도로와 시내구간을 다녀봤는데,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예상보다 잘 만들었다는 점이다. 주행성능은 꽤 괜찮았고, 이제는 시장의 반응이 궁금해진다.

 

PV5 의 무궁무진한 가능성

시승에 앞서 기아자동차는 PV5 로 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실내 V2L 기능을 통해 슬러시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개인 PC방처럼 만든 공간은 고사양 PC 를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한편, 냉장고까지 작동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특장 차량을 선보였다. 그리고, 다양한 기업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상업용 차량을 카고 모델을 통해 선보였다. 가장 눈길을 끌었던 것은 카카오택시인데, 공항에서 이용하기 좋게 캐리어를 가득 싣고 다닐 수 있는 트렁크와 넓은 실내공간이 상당히 유용해 보였다.

 

 

뿐만 아니라, 캠핑카로 개조한 PV5 가 가장 인기가 높았는데, 패밀리카로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용도로 특장이 가능해 기존 특장 업체들에서 활용성이 상당히 높아보이는 것 또한 매력 포인트다.

 

패신저/ 카고 공통점과 차이점은?

5인승 패신저 모델을 먼저 시승을 해봤다. 기아 PV5 는 최고출력 125kW(163마력), 최대 250Nm의 출력을 보여주며, NCM 71.2kWh, 51.5kWh 배터리가 적용된다. 시승모델은 71.2kWh 배터리가 적용되어 1회 충전으로 복합 358km 의 거리를 주행할 수 있다. 이건 카고 모델과 공통적인 사항이다.

 

패신저 모델에서의 외형적 특징은 벨트라인이 낮고 유리창이 상당히 크다는 점과 시트 포지션이 꽤 높다는 점이다. 운전석에 앉으면 창문의 높이와 허벅다리의 높이가 동일해진다. 그리고, 2열 슬라이딩 도어(옵션 120만원)는 패신저는 전동식으로 작동되며, 스텝고가 낮아 아이들도 타고 내리기 편하다. 그리고 2열 공간이 매우 넓다.

 

 

그리고 바닥은 TPO(Thermoplastic Polyolefin) 을 사용해 관리가 쉽다. 기존의 바닥매트는 음료나 이물질 등이 묻을 경우 세척하기가 까다롭고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은 것과 비교해서 상당히 편리하다. 아이와 함께하는 패밀리카라면 플러스 요인이다.

 

 

다시 운전석으로 오면 자그마한 계기판 뒤로 상단 트레이가 있어 다이어리 등의 수납을 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높고, 12.9인치 PBV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마치 태블릿 PC 를 보는 듯 한데, 신규 UI 가 적용되어 처음에는 사용이 어색할 수 있지만, 기존 UI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건 카고 모델 역시 공통적이다.

 

 

, 1열은 패신저와 카고의 차이가 딱히 없다. 차이점이라면 카고 모델의 경우에는 룸미러가 없다. 디지털 룸미러도 없다. 대신 12.9인치 전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후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부분은 다른 특장들도 비슷한 상황이기 때문에 큰 불편함은 없는 편이다. 다만, 센터콘솔의 위치는 좀 낮은 편이라 조금은 아쉽다. 대신, 공간은 여유로워 수납에 어려움은 없어보인다.

 

 

카고 모델의 경우엔 적재함쪽은 꾸미기 나름이다. 물론, 여기에 하이루프를 선택하면 더욱 여유로운 공간으로 바꿀 수 있으니, 소상공인들에겐 정말 괜찮은 공간이며, 표준 파레트가 그대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소형 화물운송에 적합하다. 봉고나 포터 같은 화물차와 비교하기에는 용도 및 활용성은 좀 다른 만큼, 차량 구매의 목적을 잘 생각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패신저 모델의 2열 창문은 수동이다. 사용하기 그리 쉽지는 않은 모습이며, 창은 넓지만, 열리는 부분은 작아 조금 아쉽다.

 

주행성능은 어떤가?

PV5 패신저와 카고 모델 모두 주행성능에 대해서는 크게 나쁘지 않다. 1톤 전기 화물차와 비교해서 승차감은 말도 안되게 좋다. 패신저를 고려한 세팅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미세하게 패신저와 카고의 하체는 다른 부분이 있다. 부싱류 등의 차이로 카고는 화물 적재시에 가장 좋은 승차감을 보이게끔 세팅이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승차감에 대해서는 대부분 큰 불만 없이 다닐 수 있는 정도의 승차감과 넓은 공간이다. 참고로 영유아의 경우에 패신저 모델에서는 잔진동으로 멀미를 할 수 있을 것 같긴 하다. 성인도 예민하다면 잔진동을 느낄 수 있다. 이건 구조적 한계이다보니 어쩔 수 없지만, 전체적으로 승차감은 매우 만족스러운 수준이다.

 

 

출력적인 부분에서는 163마력, 250Nm 의 토크로 그렇게 높은 출력은 아니지만, 부드러운 출발과 함께 시원시원한 가속까지도 충분히 가능하다. 물론 카고 모델의 경우, 얼마나 화물을 적재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적어도 패신저 모델에서는 패밀리카 등의 승용 용도로 활용시에 큰 불편함이 없는 편안함이다.

 

모두 전륜구동 모델로, 드라이브 모드는 에코, 노멀, 스노우 3가지가 있어 한국의 기후에 맞춰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모델 모두 승차감을 위해서인지 어느정도의 롤은 존재한다. 물론, PV5 를 갖고 스포티한 주행을 말하는 바보는 없을테니 주행안정성에 대해서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

 

총평 : ★★★★★

리어의 토션빔 때문에 일반적인 화물차 같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승차감은 훌륭하다. 전기차답게 가속력 역시 좋다. 실내 공간도 좋고, 안전 및 편의사양도 많아 운전하기에 불편하지도 않다. 패신저와 카고 모델은 목적에 따라 선택하면 되는데, 상업적 용도의 목적이 더 많을 것 같다. 주행가능거리는 장거리보다는 지역에서 타고 다니기에 딱 적합한 수준이다. 특히, V2L 기능으로 캠핑 등 특장에서의 활용성은 정말 무궁무진하다. 살 필요가 없어도 갖고 싶어지는 매력의 PV5 . , 올해 전기차 보조금이 끝난 상태라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출고가 좀 오래 걸릴 것 같다.

 

*실내공간 비교

  PV5 패신저 스포티지 카니발(7인승)
전장(mm) 4,695 4,685 5,155
헤드룸
(mm)
1 1,020 1,006 1,039
2 1,076 1,000 1,003
3 1,045 - 981
레그룸
(mm)
1 1,041 1,052 1,044
2 995 1,050 1,029
3 1,000 - 903
숄더룸
(mm)
1 1,732 1,461 1,630
2 1,617 1,412 1,606
3 1,590 - 1,511

 

 

보조금 혜택은?

PV5 패신저

구분 베이직 플러스
친환경차 세제혜택 전 가격 4,782만원 5,077만원
보조금(국비 468만원 + 지방비 등) 516만원(서울 기준)
~ 1,202만원(합천 기준)
516만원(서울 기준)
~ 1,202만원(합천 기준)
실구매가 3,580만원 ~ 4,266만원 3,809만원 ~ 4,561만원

*환경부 고시와 보급 평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PV5 카고

구분 스탠다드 롱레인지
친환경차 세제혜택 전 가격 4,200만원 4,470만원
보조금(국비 1,050만원 + 지방비 등) 1,350만원(서울 기준)
~ 1,971만원(합천 기준)
1,350만원(서울 기준)
~ 1,971만원(합천 기준)
실구매가 2,220만원 ~ 2,850만원 2,499만원 ~ 3,120만원

*환경부 고시와 보급 평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RGB STANCE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추가사진>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Copyright © 'RGB STANCE' All Rights Reserved